반응형

SQL(ORACLE) 15

[SQL] 조인(JOIN)

위 두 테이블(employees, departments) 연결하기 → ON절을 사용한 JOIN 두 테이블에 중복값이 없으면 테이블명 생략가능 table alias - column alias 사용해서 테이블명 붙여서 각 테이블 컬럼 구분,테이블명 대체 ⇒ 두 테이블 조회 방식의 결과값은 동일 주의 ! where department_id > 90 = > 오류 어떤 테이블을 조건으로 할 건지 입력해줘야함 ⇒ emp.where department_id > 90 또는 dept.where department_id > 90로 입력 22p 1번 Self-Join 사원번호와 매니저 아이디를 한꺼번에 조회할때 employees 테이블을 기준으로 JOIN →104번 사원( Ernst )의 상사는 103번( Hunold ) ..

SQL(ORACLE) 2021.10.31

[SQL] 함수

함수의 두가지 유형 - 단일행 함수 : 행당 하나의 결과 반환 - 여러행 함수 : 행 집합당 하나의 결과 반환 단일행 함수 - 문자함수 : 문자 입력을 받아들이며 문자, 숫자값을 모두 반환할 수 있다 - 숫자함수 : 숫자 입력을 받아들이고 숫자값을 반환할 수 있다. - 날짜함수 : DATE 데이터 유형의 값에 대해 실행 - 반환함수 : 값의 데이터 유형을 반환 - 일반함수 : 모든 데이터타입에 사용 가능 문자함수 대소문자 변환 함수 - LOWER : 입력받은 값을 소문자로 변환 - UPPER : 입력받은 값을 대문자로 변환 - INITCAP 문자조작 함수 - CONCAT : 문자열 값을 두개 받아서 연결 - SUBSTR : 지정된 길이의 문자열 추출 - LENGTH : 문자열 길이를 숫자값으로 표시 - ..

SQL(ORACLE) 2021.10.31

[SQL] CREATE TABLE, INSERT INTO, UPDATE SET

데이터베이스 조회 show databases; 데이터베이스 공간 선택 use jspdb3; 테이블 구조 확인 desc student; //student테이블 공간안에 학생정보를 하나 저장 insert into 테이블이름(번호열이름,이름열이름) values(번호값,'이름값'); insert into student(num,name) values(1,'김길동'); // 2번학생 '이길동' 학생정보 저장 insert into student values(2,'이길동'); insert into student(num) values(3); insert into student(name) values('정길동'); //학생 정보 조회 select * from 테이블이름; select * from student; // 학생..

SQL(ORACLE) 2021.10.21

[SQL] CREATE / DROP / INSERT INTO/ UPDATE~SET/ DELETE/ ROLLBACK/ COMMIT

****쿼리 짜기전 설정해주기***** set linesize 150 set pagesize 150 select * from emp; select * from dept; COL ENAME for A8 COL JOB for A10 COL MGR for 9999 COL EMPNO for 9999 COL SAL for 9999 COL COMM for 9999 COL DEPTNO for 99999 COL DNAME for A10 COL LOC for A8 COL GRADE FOR 9999 CL SCR (')홑따옴표 : 문자열을 감싸주는 기호 ('문자열') (")쌍따옴표 : 컬럼명 등을 감싸주는 기호 ("사용자명"."테이블명"."컬럼명") 오라클 캐릭터셋 확인 쿼리 SELECT * FROM NLS_DATABASE..

SQL(ORACLE) 2021.01.06

[SQL] 등가조인(NATURAL JOIN /JOIN USING/JOIN ON), 비등가조인,자체 조인, 외부조인, SALGRADE, 서브쿼리(ANY/SOME/ALL)

set linesize 150 set pagesize 150 select * from emp; select * from dept; COL ENAME for A8 COL JOB for A10 COL MGR for 9999 COL EMPNO for 9999 COL SAL for 9999 COL COMM for 9999 COL DEPTNO for 99999 COL DNAME for A10 COL LOC for A8 카테시안 곱 cartesian product where절의 컬럼명을 명시할 경우 소속 테이블 명도 명시해야 쿼리의 분석이 가능해 진다 ***테이블 명과 컬럼명을 동시 표기할 경우 경계(혹은 분리)문자를 사용하는데 오라클이나 SQL문의 경우 도트(혹은 닷, 점 .)를 사용한다 ***기존의 48개 열이..

SQL(ORACLE) 2021.01.05

[SQL] GROUP BY, HAVING, ORDER BY, ROLL UP, CUBE

SELECT SUM(SAL) FROM EMP; SUM(SAL) ---------- 24925 SQL> SELECT SUM(DISTINCT SAL), SUM(SAL) FROM EMP; SUM(DISTINCT SAL) SUM(SAL) ---------------- ---------- 23675 24925 SQL> SELECT COUNT(*) FROM EMP; COUNT(*) ---------- 12 //열의 개수 SQL> SELECT * FROM EMP WHERE DEPTNO = 20; COUNT를 이용하여 급여 개수를 구하시오 SQL> SELECT COUNT(*) FROM EMP WHERE DEPTNO = 20; COUNT(*) ---------- 3 SQL> SELECT COUNT(SAL),COUNT(A..

SQL(ORACLE) 2021.01.0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