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JAVA 55

[Java] 접근제한자

/* * 접근제한자 * - 클래스, 메서드, 멤버변수 등의 접근 제한 용도로 사용하는 키워드 * - (넓음) public > protected > default > private (좁음) * => 단, default 접근제한자는 별도의 키워드 없이 생략하면 적용 * * 1. private 접근제한자 * - 외부 클래스에서 접근하지 못하며, 자신의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 가능 * - 주로 외부에서 접근하지 못하도록 멤버변수에 적용 * - 자신의 클래스 내에서 private 멤버변수 값에 접근하여 * 멤버변수의 값을 변경하거나 리턴하는 역할의 메서드를 정의하여 제공 * * 2. public 접근제한자 * - 누구나 접근 가능 * - 주로 외부에서 접근하는 메서드에 적용 * public class Ex3 { p..

JAVA 2021.10.28

[Java] Class 연습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Person 클래스의 인스턴스(p) 생성 // 이름 : 홍길동, 나이 : 20, 배고픔 : false 값 저장 Person p = new Person(); // 외부의 다른 클래스에서 Person 클래스의 인스턴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 참조변수 p를 통해 접근 필수! p.name = "홍길동"; p.age = 20; p.isHungry = false; //System.out.println("이름 : " + p.name); //System.out.println("나이 : " + p.age); //System.out.println("배고픔 : " + p.isHungry); // 참조변수 p를..

JAVA 2021.10.28

[Java] Class

/* * 동물(Animal)에 해당하는 Animal 클래스 정의 * 1. 분석 * - 속성 : 이름(name, 문자열), 나이(age, 정수) * - 기능 : 짖다(cry()) */ /* * 2. 설계 - 클래스 정의 * * [접근제한자] class 클래스명 { * // 멤버변수 * // 생성자 * // 메서드 * } */ //Animal클래스 정의 public class Animal { //멤버변수 선언 String name; int age; //메서드 정의 // 짖다(cry()) : 매개변수도 없고, 리턴값도 없는 메서드 // => "동물 울음 소리!" 문자열 출력 public void cry() { System.out.println("동물 울음소리!"); } } /* ..

JAVA 2021.10.28

[Java] 객체지향(Method)

/* * 메서드(Method) * - 동작(작업)의 최소 단위(=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들의 모음) * ex) '밥먹다' 의 기능을 메서드로 표현(밥을 떠서 입에 넣고 씹기 등) * - 메서드는 반드시 호출되어야만 실행될 수 있음 * => 호출하는 메서드 : Caller, 호출 당하는 메서드 : Worker * - 메서드 호출 시 메서드에 전달하는 값을 전달인자(Argument)라고 하며, * 이 전달 인자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변수를 매개변수(Parameter)라고 함 * => 파라미터는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 - 메서드가 호출되면 작업을 수행한 후에 반드시 호출한 위치로 돌아감 * => 이 때, 호출한 곳으로 전달하는 값을 리턴값(Return value)이라고 함 * - 리턴타입을 명시한..

JAVA 2021.10.28

[Java] 배열 테스트 문제

package array; //내가 쓴 코드 public class Test5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 학생 이름을 1차원 배열(names)에 저장하고, * 학생 점수를 2차원 배열(score)에 다음과 같이 저장 후 출력하시오. * * 국어 영어 수학 * 홍길동 80 70 80 * 이순신 90 90 90 * 강감찬 50 60 77 * 김태희 100 100 100 * 전지현 80 80 60 * ------------------------- * 학생별 총점을 계산하여 1차원 배열(studentTotal)에 * 다음과 같이 저장 후 출력하시오. * * 홍길동 : 230점 = studentTotal[0] * 이..

JAVA 2021.10.28

[Java] 배열(Array)

package array; public class Ex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 배열(Array) * - 같은 타입 데이터 여러개를 하나의 묶음(변수)으로 다루는 메모리 공간 * * [ 특징 ] * 1. 같은 타입 데이터만 저장 가능 * 2. 여러 변수에 해당하는 메모리 공간이 연속된 공간에 차례대로 생성됨 * => 한 번 생성된 배열은 크기 변경 불가능 * 3. 기본 데이터타입과 참조 데이터타입 모두 배열로 사용 가능 * 4. 배열은 선언, 생성, 초기화의 3단계 과정을 거쳐서 사용 * 5. 배열 생성 시 각 공간에 해당하는 인덱스(번호)가 자동으로 부여됨 * => 0부터 시작하며, 배열크기-1 까지 부여됨 * 6. 배열이 생성될 경우 배열의..

JAVA 2021.10.26

[Java] 반복문

/* * 반복문 * - 특정 조건에 따라 지정된 범위의 문장들을 반복 실행하는 문 * - for문, while문으로 구분됨 * * 1. for문 * - 가장 기본적인 반복문 * - 반복 횟수가 정해져 있는 경우에 주로 사용 * - 초기식, 조건식, 증감식의 위치가 정해져 있어, 초보자가 익히기 쉬움 * - 초기식 : 반복 횟수를 판별하기 위한 조건식에서 사용될 * 제어변수를 선언하거나 초기화하는 문장 * - 조건식 : 반복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조건식 * => if문과 마찬가지로 true 일 때 블록 내의 문장을 실행하고 * false 일 때 for문을 종료하고 빠져나감 * - 증감식 : 반복을 위한 조건식에 맞춰 초기식에서 초기화한 제어변수를 *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문장 * * * ..

JAVA 2021.10.26

[Java] 다중 else if 문, 중첩 if문, switch문

public class Ex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 다중 if ~ else if 문(if ~ else if ~ else 문) * - 두 가지 이상의 조건식을 사용하여 세 가지 이상의 경우의 수 판별 * - 기본 if문으로 첫번째 조건을 설정하고, else if 문으로 * 두번째 이후의 조건을 설정한다. * - 모든 조건이 만족하지 않을 때 실행할 문장이 있을 경우 * 문장의 마지막에 else 문 사용 * - if문 비교는 위에서 아래로 차례대로 비교를 수행한다. * => 비교 범위가 좁은 조건식부터 비교를 수행해야한다! * * * if(조건식1) { * // 조건식1 의 결과가 true 일 때 * } else if(조건식2)..

JAVA 2021.10.26

[Java] 조건문(if문, else if문)

public class Ex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 삼항연산자(조건연산자) ?: * - 피연산자가 3개인 연산자 * - 조건식의 판별 결과가 true 일 때와 false 일 때 * 서로 다른 위치의 값(또는 식)을 선택하는 연산자 * - 조건식은 결과가 true 또는 false 가 되는 식을 사용해야함 * * * 조건식 ? 값1(true일때 선택) : 값2(false일때 선택); * */ int num = 0; // num 이 0 이상인지 판별하는 식 System.out.println(num >= 0); System.out.println(num >= 0 ? "num 은 양수!" : "num 은 음수!"); // num 이 0..

JAVA 2021.10.26

[Java] 연산자

public class Ex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 문자열에 대한 덧셈연산자(+) = 연결(결합) 연산자 * - 어떤 데이터를 문자열과 덧셈연산자로 연산할 경우 * 산술연산의 덧셈이 아닌 단순 문자열 결합(연결)으로 사용됨 * 이 때, 어떤 데이터를 문자열 타입으로 변환하여 두 문자열을 연결 * ex) "문자열" + "문자열" = "문자열문자열" * int + "문자열" = "int" + "문자열" = "int문자열" */ int a = 10, b = 20; System.out.println(a + b); // 일반 산술연산(덧셈 기능) System.out.println("a = " + a); // "문자열" + 정수 = "문자열정수" St..

JAVA 2021.10.25
반응형